해외재난 및 인도적 상황 8월 주요 키워드:
#세계인도주의의 날 #기후위기 #아이티 강진 #아프가니스탄 #코로나 19 #기니 마버그바이러스 #코트디부아르 에볼라
ㅁ 주요 해외재난 소식
ㅇ 지진: 아이티 8.14.(현지시간), 11년 만에 규모 7.2 강진 피해 ☞ 상황보고서
Click
- 사망자 2,200명, 부상자 1만 2,200명, 실종자 320명 발생 및 5만3,000채 가옥 파괴, 7만7,000건 이상의 피해 (UNOCHA, 8.25. 기준)
- EMT 대응: 7개 팀 배치, 4개 팀 도착 예정, 15개 팀 검토·대기 중 (UNOCHA, 8.23. 기준)
- 28개 기관·단체 지원 활동: UN 산하기관 4개, 국제 NGO 18개, 국가 내 NGO 4개 (UNOCHA, 8.23. 기준) ☞ 원문자료
Click
국제적십자사연맹(IFRC), 범미보건기구(PAHO) 3톤가량의 의약품 및 의료용품 지원 (8.19.)
국경없는의사회(MSF) 현지 상황조사 및 파견활동 개시, 구호 물자지원 (8.18.) ☞ 국문자료
Click
유엔인구기금(UNFPA) 여성, 여아, 취약계층 지원 위한 인도적 지원 확대 (8.24.) ☞ 원문자료
Click
- 한국정부 대응: 100만불 규모의 인도적 지원 제공 (8.17.) ☞ 외교부 보도자료
Click
ㅇ 산불: 지중해 연안의 폭염사태로 터키와 그리스에 이어 북아프리카 알제리와 튀니지에서도 대형 산불 발생
- 그리스: 8.6.(현지시간), 아테네 인근 에비아섬 산불로 최소 2000명 대피, 수백 채 가옥 파괴, 피해면적 4만ha 이상 ☞ 관련자료
Click
- 알제리: 8.9.(현지시간), 산불 피해로 소방관 28명 포함 69명의 사망자 발생, 피해면적 2만9천ha ☞ 관련자료
Click
ㅇ 홍수 및 산사태
- 미국: 8.21.(현지시간) 시작된 남부 테네시주 기록적 폭우로 인한 인명피해로 최소 22명 사망, 수십명 실종 ☞ 원문자료
Click
- 니제르: 홍수로 최소 62명 사망, 60명 부상, 10만 명 이상의 피해, 1,770건의 콜레라 사례 보고 (ECHO, 8.27.) ☞ 원문자료
Click
- 그 외 인도네시아, 태국, 베트남,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지역 홍수 및 산사태 피해 발생
ㅇ 감염병: 서아프리카 지역 COVID-19 사망자 급증 및 에볼라, 마버그 바이러스 등 발생 우려 ☞ 원문자료
Click
- 코트디부아르: 25년 만에 에볼라 사례 발생,‘21년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 에볼라 발병 기록 (WHO, 8.14.) ☞ 원문자료
Click
- 기니: 치명률 88%의 마버그 바이러스 감염사례 발생 (WHO, 8.9.) ☞ 원문자료
Click
ㅁ 국제사회 인도적 위기 및 지원 동향
ㅇ8월 19일, 세계인도주의의 날
-2003년 8월 19일, 이라크 바그다드 UN 본부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로 사망한 인도주의 활동가 22명과 수백 명의 부상자들을 기리기 위해
UN 총회에서 8월 19일을 세계인도주의의 날 (World Humanitarian Day, WHD)로 지정
ㅇ UN, 세계 인도주의의 날을 맞이하여 #theHumanRace 챌린지 실시 ☞ 홈페이지 링크
Click
- 기후 변화에 맞서 행동하자는 글로벌 챌린지로 8월 16일 ~ 30일 사이에 총 100분의 활동(달리기, 걷기, 자전거타기, 수영 등)을 기록
- 현재 인도주의 활동에 가장 큰 위협은‘기후위기’: 기후위기로 인한 물과 식량 부족, 매해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홍수, 가뭄, 폭염과
같은 자연재해로 매년 평균 약 2,400만 명의 이주민 발생(전쟁 등 무력충돌로 인한 이주민의 3배가 넘는 수치)
ㅇ 정치적 혼란, 경제 위기 및 가뭄 속 아프가니스탄 내 인도적 위기 심화
▶ 5월 초와 8월 중순 사이에 3,700명 이상의 민간인 사상자 보고, 현재 인도주의적 접근에도 제약
▶ 1천840만 명 인도적 지원 필요(그 중 970만 명이 아동), 55만 명 이상의 이주민 발생
- 유엔난민기구(UNHCR), 세계 보건기구(WHO), 유엔아동기금(UNICEF), 국제이주기구(IOM) 등 16개 국제기구 및 단체 수장들 공동 성명:
탈레반 등 아프간 내 당사자들에게는 모든 사람의 인권과 자유, 여성의 교육권 보장을, 각국에는 아프간 난민의 수용 및 국경 개방 등을 요구
(8.19.) ☞ 원문자료
Click
- 월드비전, 아프가니스탄 인도적 위기에 긴급구호지원 계획: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인구 1800만 명, 영양실조 위험 아동 200만 명 이상 발생
(8.26.) ☞ 원문자료
Click
- 세계보건기구(WHO), 12.5톤 분량 긴급 의약품 및 의료용품 등 첫 지원: 아프간 전역 29개 주 40개 보건시설에 전달 예정 (8.30.)
☞ 원문자료
Click
ㅁ 문헌자료
ㅇ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6차 보고서 공개 (IPCC, 8.9.) ☞ 영문 보고서
Click
ㅇ 기후위기는 아동 권리의 위기 (UNICEF, 8.20.) ☞ 영문 보고서
Click