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3년 이종욱 펠로우십’
보건정책과정 등 5개 연수과정 합동 입교식 개최
-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, 2013년 이종욱 펠로우십 프로그램 본격화-
□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(총재 이수구)은 오는 4월 8일 중소기업중앙회관 중회의실에서 2013년 이종욱 펠로우십 보건정책과정 등 총 5개 연수과정 합동 입교식을 개최한다.
□ 지난 2월 시작한 의사 1년 연수과정에 이어 진행되는 이번 이종욱 펠로우십 연수에는 보건의료 거버넌스 강화를 위한 보건정책과정, 질병조사·감시·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질병연구과정, 보건의료서비스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 및 간호사 연수과정, 임상실습 강화를 위한 삼각협력과정 등 다양한 연수과정이 포함되며 캄보디아, 탄자니아, 필리핀, 라오스, 인도네시아, 미얀마, 스리랑카, 아프가니스탄, 에티오피아, 우즈베키스탄, 남수단 (11개국)에서 온 총 28명의 보건행정가, 질병연구전문가, 의사, 간호사가 참여한다.
□ 입교식을 시작으로 연수생들은 재단이 연수기관으로 선정한 질병관리본부/국립보건연구원,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, 서울대학교 의과대학,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, 연세의료원, 원주연세의료원, 인하대학교 부속병원, 인제대학교 백병원 등 총 8개 연수기관에 배치되어 6개월간 연수에 임하게 된다.
□ 연수기간 동안 이들은 지도교수와의 1:1 매칭을 통한 자신의 전공분야 교육뿐만 아니라, 보건의료 분야 관리자 및 지도자로서 필요한 교육, 한국어를 포함한 한국문화알기 교육도 함께 받게 된다. 국내에 머무는 동안 연수생들은 재단으로부터 체류 및 교육에 필요한 일체의 지원을 받는다.
□ 개발도상국가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중장기 교육사업인 이종욱 펠로우십은 기재부(EDCF), 외교부(KOICA)의 보건의료 유․무상 원조사업과 연계 실시됨으로서 우리나라 원조 사업 효과성 및 지속가능성 배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되고 있다.
□ 재단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지난 6년간 이종욱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통해 총 23개 개발도상국에서 278명의 보건의료 인력을 국내로 초청, 국내 유수의 의과대학 및 대학병원에서 교육 연수 기회를 제공한 바 있다.
붙 임 1. 연수생 및 연수기관 현황 1부. <끝>
【붙임1】연수생 및 연수기관 현황(연수과정별)
현황 표
과정명 |
국가 |
소속기관 |
인원 |
전공 |
연수기관 |
보건정책 과정 |
라오스, 미얀마, 스리랑카, 캄보디아, 인도네시아 |
보건부 |
6명 |
보건정책 |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|
질병연구 과정 |
라오스 |
말라리아·기생충·곤충학 연구소 |
2명 |
말라리아, 결핵 분야 질병연구(의학) |
질병관리본부/국립보건연구원 |
필리핀 |
열대의학연구소 |
간호사 과정 |
캄보디아 |
시엠립 주립병원 |
3명 |
치과, 외과 |
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|
탄자니아 |
무힘빌리의과대학, 무힘빌리국립병원 |
3명 |
중환자 및 응급의학과 |
연세의료원 |
삼각협력 과정 |
남수단 |
주바의과대학, 벤티우 주립병원 |
6명 |
치과, 정형외과, 소아과, 외과 |
인제대학교 백병원 |
의사과정 |
우즈베키스탄 |
타쉬켄트 의학대학 |
2명 |
외과 |
인하대학교 부속병원 |
아프가니스탄 |
와르지 병원, 에스티퀄 병원 |
2명 |
외과, 정형외과 |
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|
에티오피아 |
명성기독병원 |
2명 |
안과, 내과 |
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|
스리랑카 |
탕갈래 병원 |
2명 |
응급의학과 |
연세대학교 원주연세의료원 |
5개 과정 |
11개국 |
11개 기관 |
28명 |
13개 전공 |
8개 기관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