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도국 보건의료 인재 양성의 산실, 이종욱펠로우십 2022년 입교식
- 2007년∼2021년 30개국 1,147명 연수, 각국 보건의료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 수행 중 -

□
보건복지부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(이사장 김창엽)은
8월 17일(수) 오전 10시 서울 동대문구 노보텔 라온홀에서
2022년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 통합 입교식 및 오리엔테이션(Dr. Lee Jong-wook Fellowship Program Opening Ceremony & Orientation)을
개최하였다.
○
이번 입교식에는 10개국 126명의 연수생과 보
건복지부 윤찬식 국제협력관,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창엽 이사장, 연세대학교 권명중 미래캠퍼스부총장 등 내외빈이
대면 및 비대면으로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다.
□
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(이하 “이종욱 연수사업”)은 한국인 최초로 국제기구 수장에 오른
고(故) 이종욱 제6대 세계보건기구(WHO) 사무총장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2007년부터 시작된
개발도상국 보건의료인력 초청 연수사업이다.
○
올해 이종욱 연수사업에는
10개국*에서 총 126명의 연수생이 참여하여
분야별 6개 과정(임상, 보건정책, 의공학, 보건인력교육, 최고위, 감염병대응) 또는
학위 과정(간호학, 기초의학, 교원양성, 보건정책학, 의공학, 의학교육학)을 2∼24개월간
수료할 예정이다.
* 가나, 라오스, 모잠비크, 몽골, 베트남, 에티오피아, 우간다, 우즈베키스탄, 캄보디아, 탄자니아
□
이종욱 연수사업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개발도상국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던
고(故) 이종욱 제6대 세계보건기구(WHO) 사무총장의 유지를 계승하여
2007년 시작하였고,
2021년까지 총 30개국 1,147명의 연수생을 배출하였다.
○
국가별로는
라오스가 231명으로 가장 많고, 탄자니아(135명), 캄보디아(87명), 에티오피아(83명), 우간다(81명) 등 순으로 연수생을 많이 배출하였고,
대륙별로는 아시아 683명(59.5%), 아프리카 456명(39.8%), 중남미 8명(1.2%) 순이었다.
< 이종욱 연수사업 연수생 상위 10개국 >
구분 |
라오스 |
탄자
니아 |
캄보
디아 |
에티
오피아 |
우간다 |
미얀마 |
우즈벡 |
가나 |
스리
랑카 |
베트남 |
연수생수(명) |
231 |
135 |
87 |
83 |
81 |
80 |
71 |
64 |
61 |
59 |
전체
대비(%) |
20.1 |
11.8 |
7.6 |
7.2 |
7.1 |
7.0 |
6.2 |
5.6 |
5.3 |
5.1 |
○ 연수사업 대상
직종별로는
의사가 462명(40.3%)으로 가장 많았고 의공기사, 보건정책가, 간호사 등이 이종욱 연수사업에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.
< 이종욱 연수사업 연수생 직종별 구분 >
계 |
의사 |
의공
기사 |
보건
정책가 |
간호사 |
고위급 인사 |
의학
교육
전문가 |
질병
연구가 |
감염병대응 전문가 |
심폐
기사 |
건강
보험
전문가 |
1,147(명) |
462 |
212 |
156 |
148 |
55 |
44 |
36 |
29 |
3 |
2 |
비율(%) |
40.3 |
18.5 |
13.6 |
12.9 |
4.8 |
3.8 |
3.1 |
2.5 |
0.3 |
0.2 |
○ 15년간의 연수사업으로 배출된 많은 연수생들이 자국에서 국립병원장, 정부 고위관료 등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. (붙임 참조)
□
이번 입교식에서는 보건복지부 윤찬식 국제협력관의 환영 인사에 이어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창엽 이사장이 ‘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건 체계 강화를 위한 국가 전략’을 주제로 오리엔테이션 강의를 진행하였고, 고려대학교 유석훈 교수는 ‘한국 역사 및 문화교육’을 통해 연수생들의 한국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시간을 가졌다.
○ 10개국 126명의 연수생들은 학위 과정과 6개 전문과정별 일정에 따라
연내 입국하여
9개 연수기관*에서 연수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.
* (9개 연수기관) 국립재활원, 녹십자의료재단, 명지의료재단, 서울대 산학협력단, 연세대 보건대학원, 연세대 산학협력단, 연세대 원주산학협력단, 을지대 산학협력단, 인제대 산학협력단
○ 이번 입교생 중
가나 연수생 암폰사(Theodore Amponsah)는
2018년 3개월간의
이종욱 연수과정을 통해 습득한 의공 기술을 활용하여
가나 의공기사 대상 전파교육을 실시하였고,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
가나 보건부로부터 석사과정 대상자로 추천되어 다시 한국 땅을 밟게 되었고
○
라오스 국립의과대학 부학과장인 핌남산(Oua PHIMMASARN)은
한국정부 지원으로
라오스 최초로 건립 예정인 국립의과대학병원에
한국의 수준높은 의학 교육시스템을 접목시키기 위해 이번 연수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.
□ 보건복지부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은 앞으로도
이종욱 연수사업이 한국을 넘어
국제적으로 대표적인 개발도상국 보건의료 인재 양성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
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.
○ 우선,
연수를 마친 후에도 한국의 보건의료제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연수생들을 대상으로
주기적으로(연수 후 10주년 등)
교육연수(세미나)
, 현장 견학 등을 실시하는
방문 행사(홈커밍데이)를
추진한다.
○ 또한 국가별·대륙별로
이종욱 연수생 동창회(KGA*)를
활성화하여 연수생들간 네트워크 강화하는 한편, 한국의
보건의료 인력(공무원, 의료인 등)
과의 교류를 정례화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.
* KOFIH 글로벌 동문회(KOFIH Global Alumni, KGA) : 연수 종료 후 사후관리 강화를 위해 ‘16년부터 결성, 현재 12개국에 974명 회원
○ 또한, 이종욱 연수사업의 국제적 위상 강화 및 안정적 운영, 연수 인력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을 위해
별도의 독립 교육공간 마련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.
□
보건복지부 윤찬식 국제협력관은 “
개발도상국 보건의료 인재 양성에 대한 투자는 그 어느 사업보다
고(故) 이종욱 박사의 정신을 계승하는 가치있는 투자”라며 “고(故) 이종욱 박사의 유지를 받들어 연수사업이라는 올바른 일이 올바른 장소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이겠다”라고 밝혔다.
○
연수생 대표로
캄보디아 베스나 박사(DR. TEAV VEASNA)는 답사에서 “코로나 팬데믹을 통제하는 데 있어 세계에 빛나는 모범이 된 한국에서, (故) 이종욱 박사의 희생과 의무가 깃든 이 연수 과정에 참여하게 되어 영광”이라며, “오늘부터
(故) 이종욱 박사님의 말씀인 "We need to do right things, right place, right way"의 3가지 원칙을 지켜, 인류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것을 약속드린다”고 다짐했다.